“ICT 살리려면 부산시 정책 패러다임 변화 필요”
페이지 정보
본문
21일 벡스코 더존비즈온 체험관에서 ‘코로나19 위기 극복 부산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간담회’가 열렸다. (원동화 기자)
부산시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부산에 위치한 ICT 업계를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서는 애로사항 등 지역의 ICT 업계에서 금융지원과 지역 기업을 우선 사용해달라는 건의가 나왔다.
21일 벡스코 더존비즈온 체험관에서 열린 ‘코로나19 위기 극복 부산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간담회’에서 부산시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부산의 ICT 기업과 함께 애로사항을 듣고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시간을 가졌다.
가장 먼저 이상봉 정보기술협회장은 “부산시가 이전에는 전략산업에 ‘IT’라는 표현을 썼는데 어느 순간 IT라는 이야기가 없어져 버렸다”면서 “이런 정책이 최근 IT 산업이 바탕이 되는 이유로 기본이라는 의미에서 없애버린 것인지, 부산시에서 IT에 관심이 떨어진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부산시가 지역 기업을 위해서 시가 입찰을 할 때 지역 기업의 문턱을 낮춰달라”며 “서울 업체와 비슷한 기술을 가진 기업이라면 이왕이면 부산시가 지역 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겠느냐”고 요청했다.
엔컴 박동진 상무도 힘을 보탰다. 그는 “예를 들어 부산시에서 5억원 이하 규모의 입찰을 진행할 때 조달청이 아닌 부산시 자체에서 심사를 해서 지역 기업에 가점을 주는 방식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면서 “다른 시도도 지역 기업에 대해서 지원을 하는데 부산시도 적극적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박성훈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현행법상에서 지역 업체에게 우선 입찰이나 가점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볼 문제”라면서 “관련 조례가 필요하다면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지원에 대해서 건의사항이 많이 나왔다. 말랑하니 박성준 대표는 “3년 차 창업기업으로 지금 기술 개발 후 실증 단계에 들어섰고 ICT 기업은 다른 제조업이나 다르게 바로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다”면서 “우리 기업은 정부 지원 R&D 사업을 투자받고 장관상도 2개나 받았지만 금융기관에 대출을 요구하면 아직 매출이 없다고 대출 실행이 되지 않으며 대출을 받으려면 매출이 2000만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해 ICT 기업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샤픈고트 권익환 대표는 7년차 이상에 대한 기업 지원을 요청했다. 권 대표는 “대부분의 기업지원정책에 '7년 미만기업'이라는 전제조건이 걸려있다”면서 “7년 이상 된 기업은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에 고용 창출 효과 면에서 더 크기 때문에 지원책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병태 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최근 제조업에 대해서 특별 금융 대출 지원책을 마련 중인데 이를 ICT 산업까지 늘려야 할 이유가 오늘 간담회에서 보였다”면서 “제조업과 ICT 기업들의 특징이 다른데 이를 받아들여서 부산시와 이야기해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의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인력 양성 미스매치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대부분 20~30대 젊은 인재들은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가려고 한다고 토로했다. 또 대부분 부산에서 채용 공고를 내면 30~40대 경력직들이 지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인숙 정보진흥원장은 “이런 부분을 충분히 알고 있다”면서 “서울에 본적을 두고 부산으로 출퇴근하는 경우, 부산으로 아예 이주하는 경우 등을 분석해 맞춤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프로그램 등을 검토해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연어 프로그램’등 수도권의 인력을 부산으로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찾아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원동화 기자 dhwon@leaders.kr
출처 : 일간리더스경제신문(http://www.leaders.kr)
- 이전글2021년 부산테크노파크 표창장!! 25.04.17
- 다음글부산 U-IoT협회, 가덕도 신공항 유치 염원 행사 25.04.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